전국 최다 적자 경남, 고성·창녕 등 부실 심각
미이행 시 지원 제한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 예고
농협중앙회가 24일 조합원 감소와 경영 악화로 자립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지역 농축협에 대해 합병을 통한 규모화를 강력히 권고하고 나섰다.
특히 전국에서 적자 조합 비율이 가장 높은 경남 지역 농축협들이 이번 중앙회의 강도 높은 구조조정 방침에 직접적으로 직면하면서 지역 농협계에 비상이 걸렸다.
경남 지역 농축협의 경영 건전성 악화는 심각한 수준으로, 중앙회의 합병 권고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올해 기준 경남 지역 농축협 중 14곳이 적자를 기록했으며, 지역 내 적자 조합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새고성 농협은 전체 대출 중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여신(부실 대출) 비율이 무려 30%에 달하는 등 자산 건전성 악화가 심각한 상황이다.
또한 창녕군 영산농협을 비롯한 일부 지역 농협에서 27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마늘 판매 대금을 회수하지 못해 경영 위기에 직면했다.
이 미수금 규모는 해당 농협의 조합 자본금을 넘어선 액수로 농협중앙회의 감사 대상이 됐으며 인근 지역농협과의 합병 등 경영 개선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농협중앙회의 이번 규모화 추진은 농협구조개선법을 근거로 진행되며, 합병을 통한 지속 가능한 경영 기반 마련을 핵심 목표로 한다.
경영진단 결과 자립이 어렵다고 판단된 농축협이 합병 권고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중앙회 지원을 제한하는 등 강력한 제재가 가해질 예정이다.
또한 합병을 활성화하기 위해 중앙회는 합병 등기 시 지원되는 기본 자금 확대와 합병 손실 보전 기간을 7년으로 연장하는 등 지원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농협중앙회의 이 같은 강력한 구조개선 방침은 전국적으로 시행되며, 최근 농어촌 지역 소멸과 경영 환경 악화가 두드러지는 경남 지역의 경영 부실 위기 농축협들 역시 규모화 및 합병의 압박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농축협들은 중앙회의 지원 제한 제재를 피하고 장기적인 경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합병 논의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농협중앙회의 강력한 구조조정 방침과 지원 확대책이 동시에 제시되면서, 경남 지역 농축협들은 생존을 위해 합병을 통한 규모화라는 피할 수 없는 선택에 직면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