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독자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가 27일 예정된 4차 발사를 앞두고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성공적으로 기립을 완료했다.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5일 오후 1시 36분 누리호의 발사대 기립 및 고정 작업을 마쳤다고 공식 발표했다.
기상 악화로 이송 작업이 1시간 20분 지연됐으나, 오전 9시에 트랜스포터에 적재돼 이렉터 장치로 수직 기립 후 지상고정장치에 단단히 고정됐다.
연구진은 발사체에 전원과 추진제를 공급하는 엄빌리칼 연결 및 기밀 점검 등 발사 전 핵심 작업을 이날 늦게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우주항공청은 26일 오후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최종 발사 시각을 확정한다.
누리호 4차 발사에 실리는 주 탑재체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첨단 장비를 탑재해 우주 환경 관측과 우주 바이오 실증 임무를 수행한다.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오로라 및 대기광 관측기’는 고해상도로 오로라 발생 범위와 변화를 촬영하고, 한림대학교의 ‘바이오캐비넷’은 저궤도 미세중력 환경에서 세포 배양과 3D 프린팅이 가능한 우주의학 실험을 진행한다.
소방청은 누리호 발사의 안전을 위해 76명의 소방 인력과 특수차량 26대를 나로우주센터 및 인근에 배치하고 3단계 안전 방어선을 구축했다.
발사대 반경 2㎞ 내에는 화재와 폭발에 대비한 고성능 화학차 등 중장비가 집중 배치됐으며, 3㎞ 반경에는 테러 대응 구조대와 펌프차, 8㎞ 반경에는 예비 펌프차가 배치됐다.
누리호 4차 발사의 성공은 우리나라 한국형발사체 기술의 완전 자립과 신뢰성 확보를 의미하며, 민간 기업 주도의 우주 산업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이번 발사 성공 시 국내 우주 수송 기술이 한층 성숙해지고, 차세대 위성 발사와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미래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우주 시장 진출의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