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일월 초순 목요일이다. 새벽에 전날 자연학교 하굣길 트레킹화 밑창이 닳아 판매점에 수선을 맡기고 용지호수를 거쳐온 시조를 한 수 남겼다. “늦가을 풍경으로 도심 속 용지호수 / 산책로 둘레 지킨 벚나무 일찍 나목 / 물억새 야위진 가닥 수변 운치 더한다 // 날씨가 더 추우면 지난봄 떠난 고니 / 본향에 되돌아가 새끼 쳐 다시 찾아 / 겨우내 놀이터 삼아 마음 놓고 잘 놀까.”
제목을 ‘늦가을 용지호수’로 붙여 후일 지기들에게 풍경 사진과 함께 아침 안부로 전할 셈이다. 날이 밝아오기 전 이른 아침 자연학교 길을 나섰다. 낮에는 기온이 높이 올라가도 아침은 쌀쌀해 목도리를 두른 보온을 했다. 도계동 만남의 광장에서 근교 들녘으로 가는 1번 마을버스 첫차를 타니 빈자리가 있었다. 때로는 혼잡한데 승객이 적어 도중에 타고 앉아 갈 수 있어 다행이었다.
용강고개를 넘어간 동읍 일대는 아침 안개가 서서히 끼기 시작했다. 일교차가 큰 아침에 생기는 복사안개는 한밤중은 전혀 끼지 않다가 새벽부터 엉겨 생겨남이 특징이다. 도심에도 끼기도 하지만 근교 들녘은 안개가 더욱 심하다. 특히, 호수와 같은 주남저수지를 낀 동읍 일대는 더 그렇다. 가까이 낙동강 물줄기도 흘러 대기 중 함유 습도가 다른 곳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어제 아침에 이어 이틀째 안개가 짙게 끼었다. 차량은 전조등을 켜 서행 운전으로 주남저수지를 비켜 들녘을 지난 가술 일반산업단지에서 내렸다. 안개가 끼지 않았으면 강가로 나갈 생각인데 조망을 볼 수 없어 공단 거리에서 내렸다. 가촌을 지나는 언덕에 안개를 배경으로 선 두 그루 감나무가 이채로워 사진을 남겼다. 데칼코마니처럼 인상적인데 나목이 되면 한 번 더 찾을 생각이다.
대방마을을 지나는 동네 어귀 정미소는 추수를 마친 양곡이 그득했는데 새벽부터 정미기를 돌려 쌀을 빻았다. 농민들은 농협으로 정부 수매에 응하고 싶으나 물량이 넘쳐 사설 창고나 정미소로 보내왔다. 안개가 낀 들녘으로 들어 평소 다녀본 길이라 방향 감각을 잃지 않고 앞으로 나갈 수 있었다. 추수를 마친 논은 트랙터로 갈아 뒷그루 당근을 심으려고 비닐하우스를 준비했다.
죽동에서 시작해 들녘을 가로질러 유등으로 흘러가는 죽동천에 이르니 둑길에 심어둔 산수유나무는 열매를 맺어 붉게 익어가는 중이었다. 아주 긴 둑길 천변 조경수로 심어둔 산수유나무에서 꽃이 피던 이른 봄날 운치가 있었는데 늦가을 열매는 앙상한 가지에서 겨우내 붙어 있었다.
죽동천을 건너 구산마을에서 가까운 들판을 걸어 다다기오이를 키우는 비닐하우스 농장을 찾아갔다. 지난번 들렀을 때는 상품성이 처진 오이를 수집해 지기들과 나눴는데 이번은 생겨난 때가 아니었다. 이른 아침이라 주인장 내외와 외국인 근로자의 기척이 보이지 않았다. 들녘을 더 걸어 제1 수산교가 가까운 노인 요양원에서 신설 국도를 건너 강둑으로 향했다. 어제보다는 안개가 덜 심해 서서히 걷히는 중이었다.
나목이 된 벚나무 가로수가 선 둑길에서 수산대교에 이르렀다. 강심으로 걸쳐진 수산대교 교각 밑으로 가 안개가 걷히는 강변 풍경을 사진을 남기고 둑으로 올라와 대산 문화체육공원으로 갔다. 플라워랜드에는 노랗게 핀 소국이 향기를 뿜고 핑크뮬리는 색이 바래져 갔다.
인접한 파크골프장은 이른 아침 안개를 뚫고 차를 몰아온 동호인들이 모여들어 잔디밭을 누비며 작은 공을 맞혀 굴렸다.
둑길에서 들녘으로 들어 국도변을 걸어 가술로 왔다. 카페에서 커피를 받아 도서관은 들리지 않고 삼봉공원 운동기구에 매달려 몸을 단련하고 점심때를 맞았다. 오후 일과를 수행하다 ‘수산대교’를 남겼다.
“물길은 굽이쳐서 유유히 흘러 오다 / 부유물 가라앉혀 탁도가 옅어지니 / 맑기는 한층 더 맑아져 그림지가 비친다 // 들녘을 가로지른 겹차선 진산대로 / 강심에 교각을 세워 걸쳐진 상판으로 / 차량은 쾌속 질주해 남북으로 오간다.”
作 2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