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동부보훈지청 복지과 김대홍

11월 17일은 ‘순국선열의 날’이다. 나라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친 선열들의 희생과 애국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법정기념일로, 올해로 제86주년을 맞는다. 이날은 단순히 과거를 추모하는 날이 아니라, 오늘의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었던 근본을 되새기는 뜻깊은 날이다.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번영은 결코 저절로 주어진 것이 아니다. 국권이 짓밟히던 시절, 수많은 선열은 가족과 안락한 삶을 뒤로한 채 조국의 독립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놓았다. 그들은 펜으로 세상을 일깨우고, 거리에서 외치며, 감옥에서도 꺾이지 않는 신념으로 나라의 내일을 꿈꾸었다.
그들의 이름은 모두 역사에 남지 않았으나, 그 정신은 오늘의 대한민국 곳곳에 여전히 살아 있다.

오늘날 우리는 전쟁의 총성과 압제의 그림자 대신, 기억과 실천으로 그 뜻을 이어가야 한다. 순국선열을 기리는 일은 단지 과거를 회상하는 일이 아니라 미래를 바로 세우는 일이다. 국가의 힘은 경제력이나 군사력보다, 공동체를 위해 헌신하고 책임을 다하려는 국민의 마음에서 비롯된다. 이 정신이 이어질 때, 대한민국은 어떠한 위기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다.

젊은 세대에게 순국선열의 날은 먼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다. 각자의 자리에서 맡은 바를 성실히 수행하고, 정의와 공정을 지키며, 사회를 위해 행동하는 것이 곧 오늘의 애국이다. 독립의 완성은 외세로부터의 자유를 넘어,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스스로의 양심과 책임으로 나라를 세워가는 데 있다.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우리는 다시금 다짐해야 한다. 이름 없이 조국을 위해 헌신한 선열들의 숭고한 정신이 오늘 우리의 삶 속에서 이어질 수 있도록, 더 정의롭고 따뜻한 공동체를 만들어가야 한다.
그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기억하고 실천하는 일, 그것이야말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우리가 지켜야 할 가장 깊은 예의일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경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