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마산지역의 인구감소지역 지정 문제를 두고 지역 정치권이 여야를 넘어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최근 창원지역 여당·야당 국회의원들이 함께 정부와 정치권을 향해 회원구와 합포구의 인구감소지역 지정을 촉구하고 있는 모습은 지역 정치에서 보기 드문 풍경이다. 정쟁이 일상화된 국회에서 지역의 절박한 현안을 두고 여야가 한 방향을 바라본다는 것은 시민 입장에서 환영할 만한 변화다. 마산지역의 인구 감소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제조업 기반 약화, 청년층의 외부 유출, 도시 노후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도시는 장기간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인구감소지역 지정은 단순한 ‘라벨링’이 아니라, 국가 차원의 재정·정책 지원을 직접적으로 받는 통로다. 도시 재생, 생활 SOC 확충, 청년 정주 여건 개선 등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는 기회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생존의 과제로 인식한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지역 국회의원들이 당리당략을 앞세우지 않고 공동 대응에 나섰다는 점이다. 특정 정당의 정책 업적으로 포장하려는 흔한 정치적 계산 대신, 마산지역의 현실적 어려움과 장기적 미래를 우선한 선택이라 평가할 수 있다. 시민들은 그동안 정치권이 지역 문제보다 중앙 정치의 진영 논리에 얽매여 제대로 된 역할을 하지 못했다며 깊은 불신을 쌓아왔다. 그런 점에서 이번 초당적 공조는 지역 정치가 시민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소중한 계기가 될 가능성이 크다. 물론 인구감소지역 지정이 곧바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만능 열쇠는 아니다. 지정 이후 어떤 전략으로 정책과 예산을 끌어올지, 어떻게 지역산업·교육·문화·정주환경을 종합적으로 개선할지가 더 중요하다. 지정이 목표가 아니라 시작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허성무 의원과 최형두 두 의원의 행보를 시민은 환영한다. 지역의 절박함을 앞세운 정치, 시민의 삶을 위한 협력 정치가 지속될 때 마산은 다시 도약의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정치권이 이번 공조를 일회성 보여주기로 끝내지 않고, 인구 감소와 도시 쇠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데까지 함께 나아가길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