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내년 전국동시지방선거를 6개월 앞두고 공천제도 개편에 들어갔다. 더불어민주당은 권리당원에게 사실상 1인 1표의 공천권을 부여하며 열린 공천 시대를 선언했고, 국민의힘은 개인 PT까지 포함한 역량평가를 도입해 현역 단체장 대규모 교체를 예고했다. 두 당 모두 쇄신을 외치지만 국민의 시선은 복잡하다. 이 변화가 진정한 정치 혁신인지, 아니면 내부 권력투쟁의 새로운 방식인지 아직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민주당의 권리당원 직선제 확대는 당원 주권 강화라는 명분을 내세우지만, 일반 유권자 입장에서는 오히려 공천 과정이 폐쇄적으로 보일 수 있다. 특정 조직력과 강성 지지층을 가진 후보가 당내 영향력을 독점할 위험도 여전하다. 국민이 바라는 개방형 공천은 외부 유권자의 폭넓은 참여 확대이지, 특정 당원 집단의 영향력 강화가 아니다. 공천 투명성과 경쟁력 강화 대신 당원 결집에 집중한다면 공천권 사유화 논란이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의 역량평가·개인 PT 도입은 겉보기엔 혁신적이며 능력 중심 공천이라는 시대 흐름에도 맞아 보인다. 하지만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찍어내기용 평가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지방자치단체장은 단순한 프레젠테이션 능력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자리가 아니다. 행정 경험, 지역 비전, 주민 소통 역량이 종합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평가 기준이 모호하다면 국민은 이를 또 다른 쇄신 쇼로 판단할 가능성이 크다. 결국 국민이 공천에서 바라는 핵심은 단순하다. 정당 공천이 공정하고 투명하며, 지역 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인물을 선택하는 절차가 되느냐는 것이다. 여야 모두 혁신을 말하지만, 진짜 혁신은 공천 결과가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인물을 배출했을 때 완성된다. 반대로 공천룰 개편이 당내 권력 재편이나 특정 세력의 주도권 강화로 흐른다면 이번 변화 역시 정치권의 자기논리로 끝날 뿐이다. 선거는 국민이 주인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공천룰은 정당을 위한 장치가 아니라 유권자를 위한 제도여야 한다. 국민이 신뢰하지 않는 공천은 혁신이 아니라 혼란일 뿐이다. 정당이 이 상식을 외면한다면 내년 지방선거의 국민 심판은 더욱 냉정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