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의 청년이 떠나는 속도가 심상치 않다. 지난해 순유출된 청년은 1만419명, 전국 최다 규모다. 단순한 인구 감소가 아니라 지역 생산력과 혁신역량이 빠져나가는 구조적 위기다. 출생아 감소에 청년 이탈이 겹치면 경남 인구 기반은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 이제 경남도는 단발성 지원을 넘어 정책 체질 전환에 나서야 한다. 청년이 떠나는 이유는 명확하다. 일자리의 질, 주거 불안, 문화·생활 여건 부족, 미래 성장성에 대한 불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 진학 후 수도권으로 이동하거나 지역 기업의 낮은 임금, 제한적 경력 경로 때문에 경남에 머물 이유를 찾지 못한다. 창원·김해·진주 등 주요 도시에서도 유출이 지속되는 것은 경남 산업구조 전반에 경고음을 준다. 그동안 도가 다양한 청년정책을 내놨지만 실효성은 부족했다. 지원금 중심 정책은 단기 처방에 그쳤고 산업 혁신이나 구조개선과 연계되지 않아 청년의 선택을 끌어내지 못했다. 결국 문제는 “청년이 왜 이 지역을 선택해야 하는가”에 대한 설득력 있는 답이 없었다는 점이다. 질 좋은 일자리 생태계, 안정된 주거 기반, 머물고 싶은 도시환경 조성이 핵심임은 분명하다. 경남은 제조업 중심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조선·기계·자동차 등 주력 산업이 대전환기에 놓여 있다. 이 시기를 기회로 삼아 스마트 제조, 방산·우주항공, 에너지 신산업,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확실한 성장 축을 만들 때 청년 인구 흐름도 바뀔 수 있다. 산업 고도화는 곧 청년이 찾는 고임금·전망 있는 일자리로 이어진다. 또한 뒤처진 주거·생활환경 개선은 더는 미룰 수 없다. 공공임대주택의 품질·공급 안정화, 문화·교통 인프라 확충, 청년 창업·문화공간 확대 등 생활 기반을 청년 친화적으로 재편해야 한다. 지역 대학·기업과 연계한 커뮤니티·네트워크 지원도 필수다. 경남의 청년 순유출은 더 이상 지역적 현상이 아니라 미래 지속성 자체를 흔드는 위기다. 경남도와 시·군, 대학, 기업이 모두 참여하는 청년 생태계 종합전략이 절실하다. 청년이 떠나는 지역에 미래는 없다. 청년이 돌아오고 머물고 싶은 경남을 만드는 일이 도정의 최우선 과제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