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들의 트랙터, 경운기 등 농기계 사용이 늘어나는 본격적인 수확철을 맞이하여 농기계 관련 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때이다.
영농 인력의 고령화되면서 농기계 사고는 대부분 어르신일 경우가 많다. 경남 지역에는 3년동안 총 29건의 농기계 교통사망사고가 발생하여 29명이 사망하였으며, 대부분 고령자였다. 사고 유형으로는 새벽 및 야간시간 승용차가 농기계를 추돌하여 사망한 경우가 14건, 운전 부주의 및 오조작으로 인한 전도, 추락으로 인하여 사망한 경우 13건이었다.
농기계는 안전장치 없이 신체가 외부로 노출돼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 치명률이 높다. 농기계 관련 교통사고는 전체 교통사고의 0.2% 이나 사망자는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2%를 차지한다.
농기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는 사용자 스스로 안전수칙을 익히고 그에 따라 행동해야 된다.
첫째, 기본적인 교통법규를 이해하여야 한다. 농기계를 도로에서 운행할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농기계 사용자들이 기본적인 교통법규를 지키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둘째, 농기계 조작 시 음주는 절대 금지이다. 술을 마신 상태에서는 판단력이 흐려지고, 반응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사고 시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셋째, 좁은 농로나 곡선도로에서 서행은 필수이다. 농기계는 일반차량보다 무게 중심이 높아 전도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넷째, 도로 주행 시 반사판 및 등화장치를 반드시 부착하여야 한다. 농기계는 야간에 다른 차량이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사판 및 등화장치를 부착하면 사고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다섯째, 농기계 점검 및 작업복 등에 신경써야 한다. 농기계의 사소한 고장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고, 헐렁한 옷이나 끈이 기계에 말려 들어가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통영경찰서에서는 농기계 사용자를 찾아다니며, 교육 및 반사판 배부를 실시하고 있으나, 제일 중요한 것은 자신의 안전은 스스로 지킨다는 경각심을 가지고 안전수칙을 습관화하는 것이다. 농기계는 농사에 필수적인 장비이나 그만큼 위험성도 크다는 것을 인식하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영농작업을 하기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