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2025 지방시대 엑스포에서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을 만나 동대구-창원 고속화철도 건설을 공식 건의했다.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이 사업의 필요성을 직접 설명하며 연말 확정될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드시 포함해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이는 단순한 지역 요구가 아니라 국가 경쟁력과 영남권 미래 구조를 좌우하는 대동맥을 놓을 것이냐에 대한 중대한 질문이다. 동대구와 창원은 영남권의 관문이자 핵심 산업도시다. 그러나 두 지역을 잇는 교통망은 여전히 낙후돼 자동차 이동은 1시간 30분 이상 걸리고, 철도는 우회 노선 탓에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 영남권을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어야 할 시기에 이런 상황이 계속되는 것은 국가균형발전 의지의 빈약함을 드러낸다. 특히 창원은 방위·원자력 산업의 거점이자 전국 유일의 기계산업 집적지다. 여기에 대구·경북 첨단산업 벨트가 고속철도로 빠르게 연결될 때 제조업 전반의 전선이 재편된다. 산업 경쟁력, 물류 효율, 인재 이동을 동시에 강화하는 핵심 인프라가 바로 동대구-창원 고속철도다. 그럼에도 정부는 수년째 검토만 되풀이하며 확실한 추진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 정도면 정부가 균형발전을 말할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다. 창원시는 이번에 고속철도뿐 아니라 특례시 특별법,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단 조성,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 예타 등 주요 과제를 묶어 건의했다. 그러나 이 모든 정책의 기반은 결국 광역경제권을 실제로 작동시키는 철도망이다. 철도 없이 산업·물류·관광·인구정책을 논하는 것은 근본 체력 없는 달리기와 같다. 지방소멸과 저출생·고령화가 가속화되는 지금 교통망 격차는 지역 생존을 가르는 결정적 요인이다. 수도권 집중 역시 인프라·투자가 편중된 결과였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 정부가 지방시대위원회를 만들었다면, 말이 아닌 실행으로 동대구-창원 고속철도 같은 실질적 연결망에 국가적 의지를 보여야 한다. 이 사업은 이미 경제성·필요성이 입증된 만큼 더 많은 검토가 필요하지 않다. 남은 것은 정치적 결단뿐이다. 더 지체될수록 제조업 경쟁력과 지방 생존력은 한계에 다다른다. 정부는 더 이상 늦추지 말고 결단해야 한다.

저작권자 © 뉴스경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