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사육 가금 이동 제한 등 AI 농장 유입 차단 ‘총력전’

창원주남저수지방역사진

행정안전부는 동절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산 방지를 위해 경남도를 포함한 14개 시·도에 재난안전특교세 50억원을 긴급 지원한다.

이번 지원은 최근 경기 파주 가금농장을 비롯해 창원 주남저수지 야상조류 폐사체 등에서 잇따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함에 따라, 거점소독시설 및 통제초소 운영 등 지방정부의 방역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결정됐다.

경남도 역시 최근 창원 주남저수지에서 경남야생생물보호협회에 구조된 야생 쇠기러기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이 검출됐다. 이는 도내 첫 확인 사례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가금농장으로의 유입 차단을 위해 총력전을 펼친다.

가장 먼저 방역당국은 검출지점 반경 10㎞를 ‘야생조수류 예찰지역’으로 정하고, 지역 내 사육 가금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사람과 차량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막기 위해 통제초소를 설치하고 탐방로를 폐쇄하는 등 외부인의 출입을 전면 통제하는 한편, 예찰지역 내 가금 사육농장 대상 예찰과 소독활동을 강화한다.

경남도는 그간 조류인플루엔자 전파의 주요 요인인 야생조류의 관리 강화를 위해 가금농장 대상으로 추진해 온 대 다양한 대책을 추진해 왔다.

경남도는 야생조류의 농가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지난 2023년부터 약 4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투입해 93대의 레이저 퇴치장비를 가금농장에 지원했다.

조류가 빛과 움직임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활용한 것으로 조류 시야에 강한 대비효과를 일으키는 녹색 레이저를 비추면 조류는 이를 포식자나 위험요소로 받아들여 농장 접근을 피하게 되는 방식이다. 

가금농가야생조류퇴치기운영사진

특히 이 과정에서 물리적 위해 없이 심리적 회피 반응만을 유도한다.

아울러, 야생동물의 접근이 쉽지만, 사람의 손이 닿기 어려워 소독이 취약했던 축사 지붕 등 방역 사각지대에 대해 올해부터 ‘드론 소독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드론 소독은 사람, 장비의 농장 내 출입 없이 농장 밖에서 원격으로 방제가 가능한 이점으로 차단방역 측면에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야생 철새 서식이 많은 도내 주요 철새도래지 12개소에 대해서는 축산차량 출입 통제구간을 지정하고 사람과 차량의 출입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시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경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