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2차 공공기관 이전’이 현실화될 경우, 경남은 지역 경제와 산업 구조에 새로운 전환점을 맞게 될 전망이다. 경남도는 올해 말 유치 대상 기관을 최종 추리고, 내년 초 전담 조직을 신설해 본격적인 이전 준비에 들어간다. 수도권에 소재한 공공기관 380여 곳 중 64곳을 대상으로 경남 유치 필요성을 검토하고, 오는 12월 최종 기관을 결정할 계획이다. 이번 2차 이전은 과거 노무현 정부의 1차 이전 연장선에서 진행된다. 1차 이전으로 진주 혁신도시에 11곳의 공공기관이 자리 잡았고, 지역 산업과 주거·교육 인프라 발전에도 기여했다. 이번 2차 이전이 성공하면 전략산업과 혁신도시 연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는 우주항공, 방위산업, 제조업 등 주력 산업을 지원할 기관을 유치 대상으로 삼아 지역 산업 생태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경남도의 준비 과정도 주목할 만하다. 내년 1월 상반기 정기 인사에 맞춰 균형발전본부 산하 ‘공공기관이전추진단’을 신설해 이전을 전담하게 한다. 이는 단순 행정 절차를 넘어, 지역 맞춤형 전략과 산업 연계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실질적 준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현실적 제약도 존재한다.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은 기관 내부 업무와 인력 구성, 생활 여건 등 복합적 요인에 따라 진행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경남이 희망하는 전략산업 관련 기관이 실제 이전 대상으로 확정될지도 불확실하다. 이전 기관이 지역 산업과 연계가 약하거나 기존 혁신도시 인프라와 동떨어지면 기대했던 경제적 시너지가 제한될 수 있다. 그럼에도 이번 2차 이전은 경남에 분명한 기회다. 공공기관 이전은 단순한 건물 이전이 아니라, 인력과 연구개발, 관련 기업 투자, 주거·교육 수요 확대 등 지역 경제 전반에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경남은 이를 기반으로 전략산업 육성, 일자리 창출, 혁신도시 활성화 등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관건은 계획과 실행의 정합성으로 이전 기관과 지역 산업·교육·연구 인프라를 연결하는 전략적 설계가 필요하며 정부와 협력하여, 2차 공공기관 이전을 실현하여야 경남 경제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발판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경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