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산업현장 사망 사고 증가…안전 관리 강화 절실
3분기까지 경남 산재 사망자 42명 전국 상위권
올해 3분기까지 경남지역 산업현장에서 사고로 숨진 근로자가 42명에 달해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높은 사망자 수를 기록했다.
고용노동부가 25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산재 현황에 따르면 경기 93명, 경북 52명, 경남 42명, 서울 41명 순으로 집계돼 경남은 전국에서 건설업 및 제조업 비중이 높아 안전 관리 취약이 사망자 증가 원인으로 분석됐다.
전국적으로 산재 사망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명(3.2%) 증가한 457명으로 3년 만에 사망자 수가 다시 증가했다.
특히 영세사업장인 50인 미만 사업장 사망자가 249명에서 275명으로 10.4% 증가했고, 건설업 사망자도 210명으로 3.4% 늘어났다. 기타 업종 사망자 역시 20.8% 급증해 안전 사각지대가 드러났다.
추락 사고는 지난해 대비 36명 늘어난 199명으로 가장 많은 사망 원인으로 나타났다.
오영민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감독국장은 “경남을 포함한 영세사업장 산재 사망자 증가에 문제의식을 갖고, 정책적 지원과 안전 점검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는 4분기에 경남지역 소규모 건설현장과 기타 취약 업종에 대해 집중 점검에 나서며, 지방 노동관서와 자치단체가 합동으로 산재 예방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통계는 경남지역 산업 안전 관리의 취약성을 보여주며 지역 노동자 생명을 지키기 위한 긴밀한 협력과 대응이 시급함을 보여준다.
김효빈 기자
edit07@newsgn.com
